집에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여러 상비약을 구급함에 보관하고 있어요. 대부분의 약국과 병원이 문을 닫는 주말에 가족 중 한 명이 아프게 되면 증상에 따라 적절한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데 비슷한 약이 많아 쉽게 혼동될 수 있어요.
우리 집 구급함 어린이 소화제 아세트 아미노펜 등 약 복용법
이번 시간에 소개해드릴 내용은 질환별 약 복용법으로 증상에 따라 어떤 약을 먹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과식으로 인한 소화불량엔 소화제
△ 소화효소제
▪ 음식 분해를 도움
▪ 판크레아틴, 디아스타제 등이 주성분
※ 알레르기 발생 가능, 주의 필요
△ 가스 제거제
▪ 복부 팽만감 개선
▪ 시메티콘이 주성분
▪ 위장관의 가스 배출을 돕고 복부 불쾌감 및 팽만감 개선
△ 위장관 운동 개선제
▪ 위장 운동 촉진
▪ 의사 처방에 따라 사용되는 전문의약품
※ 일정기간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 장기간 복용은 피할 것
▣ 복통으로 인한 설사(묽은 변)엔 지사제
△ 장운동 억제제
▪ 장의 연동 운동을 감소
※ 발열, 혈변, 심한 복통 등 감염성 설사에는 사용 금지
△ 설사약
▪장내 독성물질·세균 배출, 수렴·흡착제
▪공복 복용해야 하며 다른 약과 함께 복용 시 간격을 두고 복용
※ 설사약은 제품마다 복용 연령, 투여 간격이 다르므로 용법·용량 및 주의사항 확인 후 복용해야 함
▣ 우리 아이 몸이 불덩이일 땐 어린이 해열제
△ 해열진통제
▪ 아세트 아미노펜
※ 체중·연령 미준수 및 과다 복용 시 간 손상 유발 주의
※ 하루 최대 복용량(4,000mg) 초과 복용 금지
△ 해열진통소염제
▪ 이부프로펜
※ 위를 자극하거나 신장 기능을 방해할 수 있어 구토 또는 설사 등 탈수 위험이 있는 경우 복용 금지
※ 성분별 용법·용량을 확인하고 아이의 체중이나 연령에 따라 정확한 양 복용 필요
▣ 두드러기가 생겼을 땐 항히스타민제
▪ 평소 먹지 않던 명절 음식 섭취 후 두드러기 발생 시 사용 가능
▪ 6세 이하 어린이 복용 시 의사·약사 상의 후 복용
▪ 바르는 약의 경우 5~6일 투여 후에도 증상 개선이 없으면 사용 중지 후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
※ 졸음, 진정작용 등 부작용이 있으므로 차 운전 등은 피할 것
앞으로는 집에 누군가가 아플 때에 당황하지 말고 정해진 약을 셀프 처방하여 주시길 바라요. 그리고 반드시 주의 사항을 확인해 주셔야 하며, 보관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근처 약국에가서 확인을 받아 보시기를 바래요.
'건강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 건강 좋은 음식, 라이코펜 플라보노이드 오메가 3 지방산 (0) | 2021.02.19 |
---|---|
건강 습관 나쁜 버릇 5가지, 골반통 원형 탈모 원인 등 (0) | 2021.02.18 |
코로나 손씻기 등 개인 위생 관리로 지난해 식중독 환자 급감 (0) | 2021.02.16 |
국가 정신 건강 포털 온라인 심리 상담 트라우마 치료 센터 (0) | 2021.02.15 |
그린 리모델링 건물내 공기질 공조 장치 미세 먼지, 세균, 바이러스 (0) | 2021.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