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구급상자에 연고 하나쯤은 다들 가지고 계실 거예요.. 저희도 아기가 생기면서 만병통치 연고인 후시딘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연고들로 구급상자가 채워지게 되더군요. 연고는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약품으로, 간단한 상처를 치료할 때 요긴하게 쓸 수 있어요. 하지만 연고도 용도에 따라 종류가 다르고, 사용법과 주의점도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연고의 종료와 용도 및 주의점 그리고 항 바이러스제 부작용
항생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연고의 종류와 이 것들의 사용상 주의점에 대해 살펴보았어요. 아이들에게 발라줄 때에는 올바른 것인지 한번 더 사용 용도를 확인하여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 항생제 (후시딘, 박트로반 등)
△ 용도
▪ 상처의 감염방지
▪ 세균성 피부 감염증 예방
△ 주의점
▪ 내성이 강한 편이라 최소한의 기간만 사용해야 함
▪ 피부에 넓게 펴 바르면 독성을 유발하기도 하니 꼭 상처부위에만 발라야 함
◐ 항 진균 연고 (라미실, 카네스텐 등)
△ 용도
▪ 백선, 무좀 등 바이러스성 질환에 사용
△ 주의점
▪ 균의 잠복기가 있기 때문에 겉으로 보이는 증상이 완화되어도 전문가가 권한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함
◐ 항 바이러스제 (조비락스 등)
△ 용도
▪ 포진이나 구순염에 사용
△ 주의점
▪ 바이러스가 신체의 다른 부분에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장갑을 낀 채 바르는 것이 좋음
△ 항 바이러스제 부작용
▪ 항바이러스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은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무력증, 피로, 두통, 발열 등이다
◐ 스테로이드제 (세레스톤지 등)
△ 용도
▪ 습진
▪ 가려움증에 사용
△ 주의점
▪ 피부가 얇아지거나 혈관이 확장될 수 있으므로 얼굴, 항문 등 피부가 얇고 흡수력이 높은 부위에 사용하면 안 됨
▪ 유아나 임산부는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 필요
연고의 사용 기한과 사용법에 대해 배워보자
식품의 유통기한이 있듯 모든 의약품 역시 사용기한이 있는데요, 의약품 사용 기한은 해당 의약품을 허가된 저장 방법에 따라 보관했을 때 허가된 효능과 품질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한을 말합니다.
◐ 약의 사용기한, 어떻게 정할까?
▪ 시험을 통해 의약품 제제의 함량 기준을 유지하면서 품질 관리 기준에 적합한 기간을 사용기한으로 정함
◐ 연고 사용 기한
▪ 의약품은 보관조건과 사용기한을 지키면 안전
▪ 연고제, 시럽은 포장에 개봉 날짜 써놓기
▪ 유효기한이 표시된 부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블리스터 포장된 약은 잘라 쓰지 않기
◐ 연고 사용법
△ 증상에 맞게 사용
▪ 각 성분에 따라 작용을 나타내는 세균이 다름
▪ 전문가와 상의하여 적합한 바르는 항생제 선택
△ 외용으로만 사용
▪ 눈 주위, 안과용으로 사용 금지
▪ 약이 묻은 손으로 눈 비비지 않도록 주의
△ 오염되거나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폐기
▪ 색, 냄새가 변한 경우 효과가 감소하거나 부작용 우려
▪ 가까운 약국, 보건소에 비치된 폐의약품 수거함에 넣어 폐기
이번에 연고의 종류와 사용 용도, 연고의 사용 기한, 바르는 연고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자주 사용하는 연고는 집에 비축해 두되 개봉한 날짜를 적어 주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 바라며, 피부 이외에 다른 곳의 사용에 대해서는 약사나 의사에게 반드시 문의해 주시길 바라요.
'건강한 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대사량 플랭크 다이어트 하체 코어 운동 (0) | 2021.02.13 |
---|---|
스테인리스 조리 기구 사용법 & 식기 재질별 조리법 (0) | 2021.02.10 |
주택 화재 부주의가 주 원인, 가스 감지기로 예방 (0) | 2021.01.08 |
대설 강추위 시설 사전관리와 한파 대비 요령 (0) | 2021.01.06 |
2021년 코로나 백신 접종 시기 및 부작용 (0) | 2021.01.04 |
댓글